Which type of communication includes false statements others that damage character or reputation?

Defamation (명예훼손/名譽毁損) is the communication of a false statement that harms publicly the reputation of an individual, business, product, group, government, religion, or nation.

In the context of defamation actions (libel and slander) as well as invasion of privacy, a public figure shall be treated in such a manner as required by the freedom of speech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A public figure (공인/公人) is a politician, celebrity, social media personality, or business leader, who has a certain social position within a certain scope and a significant influence and so is often widely of concern to the public, can benefit enormously from society, and is closely related to public interests in society.[1]

[One sentence tip] 명예훼손이란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지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침해하는 것을 말하며, 형사책임은 물론 민사상 손해배상과 함께 또는 그에 갈음하여 명예회복에 필요한 처분을 하게 할 수 있다.

Contents

  • 1 Keywords
  • 2 Similar concepts
  • 3 Under the Criminal Act
  • 4 Under the Civil Act
  • 5 Under the Network Act
  • 6 Case law
  • 7 References

Keywords

defamation, freedom of speech, social reputation, damages, slander, libel, public figure, justification (위법성조각/違法性阻却)

Similar concepts

Defamation is different from slander and libel.

Most jurisdictions allow legal action to deter various kinds of defamation and retaliate against groundless criticism. It is usually regarded as irrational unprovoked criticism which has little or no factual basis and can be compared to hate speech, which is can also be taken to encompass discrimination against a particular organization, individual, nation, corporation or other political, social, cultural or commercial entity which has often but not always been entrenched in the practitioner by old prejudices and xenophobia.[2]

In some jurisdictions, defamation is treated as a crime rather than a civil wrong.[3]

A person who defames another may be called a "defamer", "libeler" or "slanderer". Legally defamation means the infringement upon of the fame or reputation of an individual, organization or business.

Under the Criminal Act

Initially, defamation is invoked by means of the Criminal Act[4] (형법/刑法), which has several provisions regarding defamation.

Article 307 (Defamation)

(1) A person who defames another by publicly alleging fact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or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for not more than two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five million won. (2) A person who defames another by publicly alleging false fact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five years, suspension of qualifications for not more than ten years, or a fine not exceeding ten million won.

Article 308 (Defamation of Dead Person)

A person who defames a dead person by publicly alleging false fact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for not more than two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five million won.

Article 309 (Defamation through Printed Materials)

(1) A person who commits the crime of Article 307 (1), by means of newspaper, magazine, radio, or other publication with intent to defame another,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or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for not more than three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seven million won. (2) A person who commits the crime of Article 307 (2), by the method described in paragraph (1),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seven years or suspension of qualifications for not more than ten years, or a fine not exceeding fifteen million won.

Article 310 (Justification)

If the facts alleged under Article 307 (1) are true and solely for the public interest, the act shall not be punishable.

Article 311 (Insult)

A person who publicly insults another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or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for not more than one year or by a fine not exceeding two million won.

Article 312 (Complaint)

(1) The crimes of Articles 308 through 311 shall be prosecuted only upon complaint. (2) The crimes of Articles 307 through 309 shall not be prosecuted over the express objection of the victim.

Under the Civil Act

As defamation is related with the social deterioration of a person's character, personality, social reputation, credit standing and other personal virtues, it may lead to a lawsuit for damage compensation. Under the Civil Act[5] (민법/民法), defamation is treated as one of torts.

The fame or reputation protected by law is the external assessment of the value of a personality or organization. Human dignity is an inherent and intrinsic value which is beyond the legal protection. Therefore, if a certain communication hurt the sense of reputation but failed to damage the external assessment, it would not amount to defamation.[6]

명예의 주체는 자연인 ㆍ법인 ㆍ법인격 없는 단체를 포함하고 자연인은 유아 ㆍ정신병자 ㆍ전과자 ㆍ피고인 등도 포함된다. 공익목적을 위한 진실의 발표는 위법성을 조각한다고 해석되나, 허위의 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위법하다. 명예훼손은 불특정다수인을 대상으로 어떤 사실이 공표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특정된 제3자에 대하여 고지된 경우도 위법성이 있다고 본다.

명예훼손의 피해자는 그것을 재산적 손해로서 가해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외에 위자료청구도 가능하다(민법 750조, 751조). 또한 법원에 대하여 손해배상에 갈음하거나 또는 손해배상과 함께 명예회복에 적당한 처분을 명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민법 764조).

Article 764 (Special Rules which Govern in case of Defamation)

The court may, on the application of the injured party, order the person who has impaired another s fame to take suitable measures to restore the injured party s fame, either in lieu of, or together with damages.

Inclusion of the publication of apology in newspapers, etc. in the suitable measures to restore the injured party s fame in this Article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1991.

Se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court-ordered apology at Apology.[7]

Under the Network Act

In the Information Age, there occurs very frequently defamation incidents via the Internet o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In this context, the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defamation be mean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8] (the "Network Act",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情報通信網法).

Article 44 (Protection of Righ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1) No user may circulate any information violative of other person's rights, including invasion of privacy and defamation,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2) Every provid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shall make efforts to prevent any information under paragraph (1) from being cir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operated and managed by the provider. (3)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may prepare a policy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education,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nd other activities to prevent violation of other persons' rights by information circulated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cluding invasion of privacy and defamation and may recommend provid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to adopt the policy. <Amended by Act No. 11690, Mar. 23, 2013; Act No. 12681, May 28, 2014>

Article 44-6 (Claim to Furnish User's Information)

(1) A person who alleges that information published or circulated by a specific user has intruded on his or her privacy, defamed him or her, or violated his or her rights, may file a claim with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under Article 44-10 to demand the relevant provid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to furnish the information he or she possesses about the alleged offender (referring to the minimum information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including the name and address, necessary for filing a civil or criminal complaint), along with materials supporting his or her allegation of the violation, in order to file a civil or criminal complaint against the alleged offender. (2) Upon receiving a claim under paragraph (1),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shall make a decision on whether to furnish information, hearing the opinion of the relevant user, unless it is impossible to contact the relevant user or there is any particular reason otherwise. (3) A person who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user under paragraph (1) shall not use the information for any purpose other than the purpose of filing a civil or criminal complaint. (4) Other matters necessary for the contents of a claim to furnish information of a user and the procedures therefor shall b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rticle 44-10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1) The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shall have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comprised of five members or less for efficient conciliation of disputes arising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that intrudes other persons' privacy, defames other persons, or violates other persons' rights, including a member or more holding the qualification of attorney-at-law. (2) The members of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shall be commissioned by the chairperson of the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with consent of the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3) Articles 33-2 (2) and 35 through 39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procedures for conciliation of disputes by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In such cases, "Dispute Mediation Committee" shall be construed as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and "disputes over personal information" as "disputes arising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that intrudes privacy, defames other persons, or violates other persons' rights among information circulated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4) Matters necessary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defamation dispute conciliation division and the conciliation of disputes, and other related matters shall b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rticle 70 (Penalty Provisions)

(1) A person who commits defamation of another person by disclosing a fact to the public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purposely to disparage the reputation of such person,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 labor for up to 3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30 million won. <Amended by Act No. 12681, May 28, 2014> (2) A person who commits defamation of another person by disclosing a false fact to the public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purposely to disparage the reputation of such person,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 labor for up to 7 years, by suspension of qualification for up to 10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50 million won. (3) The prosecution may not prosecute a person who committed a crime under paragraph (1) or (2) against the victim's will explicitly manifested.

Case law

In various criminal and civil actions, the Supreme Court answered the following questions:

  • To what extent, is the publisher or broadcaster who alleged false facts responsible for defamation or justifiable on account of the public interest?
  • Is it culpable to criticize others via the Internet or SNS?
  • Is is punishable to accuse the former boss in relation to #Me Too campaign?

On the issue of Justification - Supreme Court Decision 98Da16203 decided April 27, 1999

도서·잡지에 의하여 사실을 적시하여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한 경우에도 그 목적이 오로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일 때에는 적시된 사실이 진실이라는 증명이 있거나 그 증명이 없다 하더라도 행위자가 그것을 진실이라고 믿었고 또 그렇게 믿을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위법성이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그에 대한 입증책임은 어디까지나 명예훼손 행위를 한 도서·잡지의 집필자 또는 발행인에게 있고, 피해자가 종교단체라 하여 입증책임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Ditto - Supreme Court Decision 2004Do1632 decided January 26, 2007

형법 제310조에서 말하는 공공의 이익에는 널리 국가, 사회 기타 일반 다수인의 이익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특정 사회집단이나 그 구성원 전체의 관심과 이익에 관한 것도 포함되고, 행위자의 주요한 동기 내지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부수적으로 다른 개인적인 목적 또는 동기가 내포되어 있거나 그 표현에 있어서 다소 모욕적인 표현이 들어 있다 하더라도 형법 제310조의 적용을 배제할 수 없다. 나아가 공인이나 공적 기관의 공적 활동 혹은 정책에 대하여는 국민의 알 권리와 다양한 사상, 의견의 교환을 보장하는 언론의 자유의 측면에서 그에 대한 감시와 비판기능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명예를 훼손당한 자가 공인인지, 그 표현이 객관적으로 국민이 알아야 할 공공성, 사회성을 갖춘 공적 관심사안에 관한 것으로 사회의 여론형성 내지 공개토론에 기여하는 것인지, 피해자가 그와 같은 명예훼손적 표현의 위험을 자초한 것인지 여부 등의 사정도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적 관심사안에 관하여 진실하거나 진실이라고 봄에 상당한 사실을 공표한 경우에는 그것이 악의적이거나 현저히 상당성을 잃은 공격에 해당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이라는 증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Ditto - Supreme Court Decision 98Da31356 decided February 9, 1999

사실을 적시하는 표현행위로 인한 명예훼손의 불법행위에 있어서는 그 행위가 공공의 이해에 관한 사항에 관계되고, 그 목적이 오로지 공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일 때에는 적시된 사실이 진실이라는 증명이 있거나, 적시된 사실이 진실이라는 증명이 없더라도 표현행위를 한 사람이 적시된 사실이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위법성이 없다. 민사상 타인에 대한 명예훼손, 즉 사람의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의 인격적 가치에 관하여 사회로부터 받는 객관적인 평가를 저하시키는 것은 사실을 적시하는 표현행위 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하는 표현행위에 의하여도 성립할 수 있을 것인바, 어떤 사실을 기초로 하여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함으로써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에는 그 행위가 공공의 이해에 관한 사항에 관계되고, 그 목적이 공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일 때에는 그와 같은 의견 또는 논평의 전제가 되는 사실이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진실이라는 증명이 있거나 그 전제가 되는 사실이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진실이라는 증명이 없더라도 표현행위를 한 사람이 그 전제가 되는 사실이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위법성이 없다. 의견 또는 논평을 표명하는 표현행위로 인한 명예훼손에 있어서는 그 의견 또는 논평 자체가 진실인가 혹은 객관적으로 정당한 것인가 하는 것은 위법성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없고, 그 의견 또는 논평의 전제가 되는 사실이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진실이라는 증명이 있는가, 혹은 그러한 증명이 없다면 표현행위를 한 사람이 그 전제가 되는 사실이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가 하는 것이 위법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On the issue of publicly alleging false facts - Supreme Court Decision 99Do3213 decided October 22, 1999

형법 제307조 제2항이 정하는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하여는 범인이 공연히 사실의 적시를 하여야 하고, 그 적시한 사실이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것으로서 허위이어야 하며, 범인이 그와 같은 사실이 허위라고 인식하였어야 한다. 이에 해당하는 행위에 대하여는 위법성 조각에 관한 형법 제310조를 적용할 여지가 없다. 적시된 사실이 허위의 사실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적시된 사실의 내용 전체의 취지를 살펴볼 때 중요한 부분이 객관적 사실과 합치되는 경우에는 세부(細部)에 있어서 진실과 약간 차이가 나거나 다소 과장된 표현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허위의 사실이라고 볼 수는 없다.

On the issue of damage to reputation - Supreme Court Decision 2009Do6687 decided September 24, 2009

명예훼손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사실의 적시가 있어야 하고, 적시된 사실은 이로써 특정인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구체성을 띠어야 한다. 비록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였더라도 그 허위의 사실이 특정인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를 침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라면 형법 제307조 소정의 명예훼손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On the issue of purposely disparaging the reputation of other person - Supreme Court Decision 2018Do15868 decided March 2, 2020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 제1항에서 정한 ‘사람을 비방할 목적’이란 가해의 의사나 목적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사람을 비방할 목적이 있는지는 적시된 사실의 내용과 성질, 사실의 공표가 이루어진 상대방의 범위, 표현의 방법 등 표현 자체에 관한 여러 사정을 감안함과 동시에 그 표현으로 훼손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명예의 침해 정도 등을 비교·형량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비방할 목적'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과는 행위자의 주관적 의도라는 방향에서 상반되므로, 적시한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비방할 목적은 부정된다. 여기에서 ‘적시한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인 경우’란 적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볼 때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으로서 행위자도 주관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그 사실을 적시한 것이어야 한다.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에는 널리 국가·사회 그 밖에 일반 다수인의 이익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사회집단이나 그 구성원 전체의 관심과 이익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그 사실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인지는 명예훼손의 피해자가 공무원 등 공인인지 아니면 사인에 불과한지, 그 표현이 객관적으로 공공성·사회성을 갖춘 공적 관심 사안에 관한 것으로서 사회의 여론형성이나 공개토론에 기여하는 것인지 아니면 순수한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인지, 피해자가 명예훼손적 표현의 위험을 자초한 것인지 여부, 그리고 표현으로 훼손되는 명예의 성격과 침해의 정도, 표현의 방법과 동기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행위자의 주요한 동기와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부수적으로 다른 사익적 목적이나 동기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References

  1. ↑ Unless there is proof that the writer or publisher acted with actual malice (현실적 악의/惡意) by knowing the falsity or by reckless disregard for the truth, any public figure cannot succeed in a lawsuit on incorrect harmful statements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Korea. The legal burden of proof in defamation actions is thus higher in the case of a public figure than in the case of an ordinary person.
  2. ↑ Under common law, to constitute defamation, a claim must generally be false and have been made to someone other than the person defamed. Some common law jurisdictions also distinguish between spoken defamation, called "slander", and defamation in other media such as printed words or images, called "libel". "False light" laws protect against statements which are not technically false but misleading.
  3. ↑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ruled in 2012 that the criminalization of libel violates freedom of expression and is inconsistent with Article 19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4. ↑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Act is available here.
  5. ↑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Act is available here.
  6. ↑ 어떤 행위가 상대방의 명예감정에 상처를 입혔으나 그의 외부적 평판은 손상시키지 아니한 경우, 그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
  7. ↑ The Constitutional Court delivered the full bench decision 89Hun-Ma160 decided April 1, 1991. 민법 제764조가 사죄광고(謝罪廣告)를 포함하는 취지라면 그에 의한 기본권제한에 있어서 그 선택된 수단이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정도 또한 과잉하여 비례의 원칙이 정한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 없는 것으로서 헌법 제19조에 위반되는 동시에 헌법상 보장되는 인격권(人格權)의 침해에 이르게 된다. 민법 제764조 “명예회복에 적당한 처분”에 사죄광고를 포함시키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은 의미는, 동조 소정의 처분에 사죄광고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여야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는 것으로서, 이는 동조와 같이 불확정개념(不確定槪念)으로 되어 있거나 다의적인 해석가능성이 있는 조문에 대하여 한정축소해석을 통하여 얻어진 일정한 합의적 의미를 천명한 것이며, 그 의미를 넘어선 확대는 바로 헌법에 위반되어 채택할 수 없다는 뜻이다.
  8. ↑ The officia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ct is available here. Otherwise, the different English version is also available at the Privacy Portal site.

What is unethic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sed to undermine relationships or encourage social immorality is unethical communication. The exact definitions of these depend on the ethics system of your culture, but most people agree that ethical communication builds positive relationships, while unethical communication impairs them.

Which of the following is a characteristic of an ethical communication?

Simply put, ethical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ng in a manner that is clear, concise, truthful, and responsible.

What are examples of ethical communication?

Ethical Communication In An Organization.
Be Truthful And Honest..
Active Listening..
Speak Non-Judgmentally..
Speak From Your Own Experience..
Consider the Receiver's Preferred Communication Channel..
Strive To Understand..
Avoid A Negative Tone..
Do Not Interrupt Others..

What is ethic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Ethics is how a person uses language, media, journalism, and creates relationships that are guided by an individual's moral and values. These ethics consider being aware of the consequences of behavior and consequences; it's to “respect other points of view and tolerate disagreement”.

Toplist

Neuester Beitrag

Stichworte